简体中文
繁體中文
English
Pусский
日本語
ภาษาไทย
Tiếng Việt
Bahasa Indonesia
Español
हिन्दी
Filippiiniläinen
Français
Deutsch
Português
Türkçe
한국어
العربية
요약:[소박스]◆기사 게재 순서① 또 커지는 불확실성 대한민국 경제 '비상' ② 强달러에 돈 몰린다… 달러 예금·보험부터 ETF까지 ③ 원화 약세에 '셀코리아'… 한미 금리 역전 우려에
① 또 커지는 불확실성 대한민국 경제 '비상'[소박스]◆기사 게재 순서
② 强달러에 돈 몰린다… 달러 예금·보험부터 ETF까지
③ 원화 약세에 '셀코리아'… 한미 금리 역전 우려에 하반기도 “답없다”
④ 투자 암흑기... '채권 저가매수' 기회?[소박스]
국제유가·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고물가'와 인플레이션 압력에 따른 '고금리'에 미국의 긴축 정책으로 '고환율'이 겹치면서 국내 기업들의 실적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특히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가전, 화학 업종 등의 부진이 두드러질 것이란 전망이다.
통상 원/달러 환율은 주식시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환율과 주가는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인과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보긴 어렵다. 경기가 좋고 수출이 증가할 때 주가가 상승하고 원화가 강세(원/달러 환율 하락)를 보이는 것처럼 주가와 환율이 경기에 영향을 받는다고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는 분석이다.
증권가에선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원화 환산 매출이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섬유의복 업종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경기방어주인 제약·바이오 업종도 상대적으로 안전지대가 될 것이란 의견이 나온다.
상장사, 실적 둔화 우려… 환율과 주식시장의 관계는?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증시에 상장된 기업 중 기관 3곳 이상의 컨센서스가 존재하는 251개 상장사의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추정치 합산액은 총 56조3946억원이다. 앞선 1분기(57조561억원)보다 1.2% 감소한 규모다. 같은 기간 매출 추정치는 전 분기 대비 2.5% 늘어난 598조3860억원으로 예상했다.
반도체 대장주인 삼성전자의 2분기 매출은 전 분기 대비 0.7% 감소한 77조2275억원을, 영업이익은 4.8% 증가한 14조7983억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메모리 반도체 수요 부진에 따른 세트 부문의 출하량 하락과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이익률 감소 때문이다.
주가도 지지부진한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올 초 7만8000원대를 기록하던 삼성전자 (KS:005930) 주가는 6월에만 13% 넘게 빠지면서 5만원대로 주저앉았다. 6월 23일에는 장중 5만6800원까지 빠지며 52주 최저가를 다시 썼다.
지난해 역대급 실적을 기록했던 국내 증권사들도 역기저 효과와 증시 부진에 따른 거래대금 감소로 실적이 악화될 전망이다. NH투자증권의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41% 감소한 2320억원, 삼성증권은 33.8% 줄어든 2122억원으로 추정된다.디스플레이 업종은 1분기부터 이어진 수요 부진과 중국 상하이 봉쇄 여파가 지속되면서 실적 악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LG디스플레이의 경우 2분기 영업손실 590억원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LG디스플레이 주가는 올들어 40% 안팎 하락했다.
염동찬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원화 약세는 바텀 업(Bottom-up) 측면에서 외환거래손실을 야기할 수 있고 탑 다운(Top-down) 측면에서 외국인의 자금유출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주식시장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이슈”라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반대로 환율 레벨이 높은 수준이고 원화 강세가 진행돼 환율이 하락하는 구간에선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염 연구원은 “펀더메털 측면에선 큰 문제가 없지만 수급 이슈로 있었던 종목은 긍정적인 접근이 가능하다”며 “외국인 순매도에도 올해 이익추정치가 상향 조정됐고 향후 원화 강세가 진행될 때 외환거래이익이 발생할 수 있는 종목을 관심 종목으로 제시한다”고 말했다.
'3高' 악재 속에서도 살아남을 업종은?
국내 주식시장이 당분간 불확실성에 따른 변동성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안전지대'라는 평가를 받는 업종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의류 브랜드 업체들의 경우 환율 상승에 따른 영향을 크지 받지 않는 종목으로 꼽힌다. 대부분 내수 소비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국내에서 수입 브랜드를 전개하는 의류업체들은 환율이 원가율에 영향을 미쳐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통상 6개월 전에 미리 매입을 하는데 매입 시점보다 판매 시점에 환율이 상승하면 원가율이 개선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6개월 전 보다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 매입가에 비해 판매가격(원화 환산 매출액)이 실제(달러 기준)보다 커지기 때문이다.
수출이 주력인 OEM 업체들도 달러 강세가 수익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한세실업의 경우 매출의 100%, 원가의 75%가 미국 달러화로 결제되는 구조로 원/달러 환율 상승 시 원화 환산 매출이 증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한세실업은 2021년 말 기준 외화 순부채 2938억원을 갖고 있어 환율 상승 시 외화 환산손실이 발생한다. 서 연구원은 “OEM 주가는 원/달러 환율과 전반적으로 동행하지만 전방 업황에 따라 때론 상관성이 하락하기도 해 결국 수주산업의 특성상 전방 업황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며 “환율 하락 구간에도 업황이 그 이상으로 개선돼 높은 외형성장률을 기록한다면 수익성은 충분히 개선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서현정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원/달러는 6개월 전에 비해 약 7% 상승했고 대부분의 해외 브랜드들이 판매가격을 인상하기도 했다”며 “회계적으로 원가율 하락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실적 측면에서 긍정적”이라고 분석했다.
제약·바이오 업종도 제조 원가 부문에서 유가와 환율상승이 부담은 되지만 타 업종에 비해선 상대적으로 적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일단 제품가격에서 차지하는 원재료비 비중이 낮고 도입상품 비중이 높은 제약사도 일반적으로 상품매입가격이 계약에 따라 결정돼 있기 때문에 환율이 상승했다고 해서 단기적으로 큰 영향은 없다는 분석이다. 수출 규모가 있는 제약사는 원료수입 부담을 수출에서 상쇄시킬 수도 있다.
하태기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올 1분기 기준 수출 비중을 보면 셀트리온헬스케어(셀트리온 (KS:068270)),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절대적으로 높고 서흥 등도 수출 비중이 높다”며 “이 같은 기업에게 환율 상승은 수익성 개선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물가억제를 위해 금리를 급하게 인상하면서 주식시장의 불확실성이 매우 높아졌다”며 “제약주는 이 태풍의 영향권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진 못하겠지만 2022년 상반기에 이어서 하반기에도 상대적인 안전지대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머니S에서 읽기
면책 성명:
본 기사의 견해는 저자의 개인적 견해일 뿐이며 본 플랫폼은 투자 권고를 하지 않습니다. 본 플랫폼은 기사 내 정보의 정확성, 완전성, 적시성을 보장하지 않으며, 개인의 기사 내 정보에 의한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